야구에서 투수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는 다양하지만, WHIP는 가장 기본이면서도 신뢰할 수 있는 투수의 안정성 판단 지표입니다. WHIP는 한 투수가 이닝당 얼마나 많은 주자를 내보내는지를 보여주는 통계로, 볼넷과 피안타를 합산하여 이닝 수로 나눈 수치입니다. 이 글에서는 WHIP의 개념, 계산 방법, 해석 기준, 그리고 실제 야구 전략에서의 활용까지 쉽고 전문적으로 설명해드립니다.
WHIP란 무엇인가? – 개념과 의미
WHIP는 Walks plus Hits per Inning Pitched의 약자로, 한 투수가 1이닝 동안 평균적으로 몇 명의 주자를 출루시켰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WHIP = (BB + H) / IP
BB: 볼넷, H: 피안타, IP: 투구 이닝 수
WHIP는 실점과 관계없이 투수가 주자를 얼마나 내보내는지를 수치화하기 때문에, 방어율(ERA)보다 투수의 실질적인 경기 운영 능력을 평가하는 데 더 적합한 경우가 많습니다.
WHIP 계산 방법과 수치 해석
예: 90이닝, 25볼넷, 80피안타 → WHIP = (25 + 80) / 90 = 1.17
WHIP 수치 | 해석 |
---|---|
1.00 이하 | 리그 최상위급 투수 |
1.01 ~ 1.20 | 우수한 투수 |
1.21 ~ 1.35 | 평균적인 수준 |
1.36 ~ 1.50 | 불안정한 제구력 또는 피안타 많음 |
1.51 이상 | 불펜 혹은 대체 요원 수준 |
WHIP는 숫자가 낮을수록 정확한 제구력과 안정적인 경기 운영을 상징합니다.
WHIP와 다른 투수 지표 비교
WHIP vs ERA
ERA는 실점 중심, WHIP는 출루 억제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WHIP vs K/9
K/9는 삼진 능력, WHIP는 주자 억제 능력. 둘 다 낮으면 완성형 투수로 평가됩니다.
WHIP vs BB/9
BB/9이 높으면 WHIP도 상승. WHIP는 제구력과 피안타를 함께 판단할 수 있습니다.
WHIP는 한 투수가 이닝당 얼마나 많은 주자를 출루시켰는지를 보여주는 투수 평가의 핵심 지표입니다. 단순한 공식이지만, 그 안에는 제구력, 피안타 억제력, 경기 운영 능력이 모두 녹아 있습니다. ERA보다 투수 본연의 능력을 더 명확히 보여주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팬, 해설자, 감독 모두에게 믿고 참고할 수 있는 통계로 자리잡았습니다. 이제부터는 WHIP 수치와 함께 투수의 진짜 실력을 꿰뚫어보는 안목을 가져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