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맞벌이 신혼부부 청약자격 되나요?

by think7099 2025. 4. 22.

아파트 사진

 

신혼부부가 내 집 마련을 고민할 때 가장 많이 묻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맞벌이면 청약 불리한가요?”
특히 신혼희망타운, 신혼부부 특별공급 등 공공주택 청약에서는 소득 기준이 까다롭다 보니 맞벌이 가구는 청약 자격이 되는지, 혹시 소득 초과로 탈락하지는 않을지 걱정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맞벌이 신혼부부의 청약 자격 조건과 실제 가능성, 전략적인 접근법까지 꼼꼼히 알려드립니다.

맞벌이도 청약 가능할까? 소득 기준 이해하기

맞벌이 부부도 신혼부부 청약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만, 신혼희망타운이나 특별공급 등 청약 유형마다 적용되는 소득 기준이 달라서 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공분양(신혼부부 특별공급) 소득 기준 (2025년 기준)
- 외벌이 가구: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20% 이하
- 맞벌이 가구: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30% 이하
→ 3인 가구 기준 약 월 950만 원 이하면 신청 가능

신혼희망타운 청약 소득 기준
- 맞벌이 가구: 130% 이하
- 생애최초 특공으로 신청 시 160%까지 가능 (단, 조건 충족 필요)

민간분양 특공
- 140~160%까지 허용 (단지별 상이)
- 소득 기준 완화형 특공이 있는 경우 맞벌이도 유리

👉 맞벌이 부부라도 평균 소득이 기준 이하면 충분히 1순위 청약 가능하며,
자녀가 있을수록 소득 기준이 더 완화됩니다.

자산 기준과 기타 필수 자격요건

맞벌이 부부는 소득 외에도 자산 기준, 무주택 여부, 청약통장 조건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청약은 종합 자격 심사이므로, 한 가지 조건만 보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자산 기준 (2025년 기준)
- 총자산: 3억 6천만 원 이하
- 자동차: 3,557만 원 이하 차량만 보유 가능

기타 필수 조건
- 혼인 7년 이내(또는 예비신혼부부)
- 무주택 세대구성원
- 청약통장 가입 6개월 이상 (특공은 납입 24회 이상 유리)
- 지역 우선공급 대상 여부 (전입기간 등)

예외 사항
- 일부 민간분양의 경우 자산 기준이 완화되거나 미적용
- 생애최초 특별공급은 기존 주택소유 이력이 없는 경우 우선

👉 맞벌이 가구도 자산 요건과 통장 조건만 맞춘다면 청약에 전혀 불리하지 않으며, 중도금 대출, 분양계약 유지 등에서 소득이 높아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맞벌이 신혼부부 청약 전략 5가지

청약을 노리는 맞벌이 신혼부부라면 소득 기준을 우회하거나 당첨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략 1. 생애최초 + 신혼특공 병행 신청
- 생애최초 자격이 있다면, 소득 기준이 더 완화됨
- 신혼특공과 동시에 신청 가능 (중복 당첨 불가, 하나만 선정)

전략 2. 청약 가점 대신 '우선공급 자격' 확보
- 혼인 2년 이내 + 자녀 있음 → 우선공급 대상
- 전체 물량의 70~80%를 차지하므로 당첨 확률 높음

전략 3. 소득 분할 및 신고 최적화
- 연말정산,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 인정됨
- 3개월 평균 소득 기준이므로 급여 조정도 전략 중 하나

전략 4. 사전청약을 통한 기회 선점
- 본청약보다 경쟁률 낮음
- 혼인 예정자도 신청 가능
- 입주 시기 맞춰 혼인·출산 계획 수립 유리

전략 5. 지역 거주 요건 충족
- 서울·수도권 일부 단지는 1년 이상 거주 시 우선공급
- 전입신고 후 1년 이상 유지 필수

👉 맞벌이 신혼부부도 전략적 계획과 요건 충족만 있다면 충분히 유리한 조건입니다.

맞벌이 신혼부부도 청약자격 충분히 됩니다.
소득 기준, 자산 기준, 우선공급 조건만 충족하면 공공분양, 신혼희망타운, 민간특공 등 모든 유형에서 실질적인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월소득 950만 원 이하 → 특공 신청 가능
✅ 자산 3.6억 이하 / 차량가 3,557만 원 이하
✅ 청약통장 6개월 이상 + 납입 24회 이상 추천
✅ 혼인 기간, 자녀 유무로 우선공급 전략 세우기

지금 바로 LH청약센터 또는 마이홈 포털을 통해 자신의 소득기준에 맞는 공급 유형과 청약 일정을 확인하고,
청약 성공을 위한 준비를 시작해보세요!